2025년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- 李海珍, 김은하, & 강병규. (2025). 『중국어 방향보어 ‘出来’의 목적어 어순 제약 기제 — 코퍼스 통계 분석을 중심으로』. 중국언어연구, 120, 141-192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강병규. (2025). 『ChatGPT 기반 다차원 문맥 번역 프레임워크 연구 ― 다중후보 통합과 RAG를 중심으로』. 중국문학, 124, 245-285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Barrie, M., Yoo, I. W., & Kang, B. (2025). 『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unterparts of where in Korean, Mandarin Chinese, and Eastern Tamang: M. Barrie et al.』. Journal of East Asian Linguistics, 1-16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이명월, & 강병규. (2025). 『현대중국어 '一下'와 '一个'의 동량사 용법에 대한 실험언어학적 연구』. 중어중문학, 100, 249-278. 
 
                        - 최승혁, & 강병규. (2025). 『법률 도메인 특화 기계번역의 번역 품질 개선 분석 – 계약서 중한 번역을 실례로 –』. T&I REVIEW, 15(1), 89-108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임수경, & 강병규. (2025). 『텍스트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정규표현식의 이해와 활용』. 중국어문학논집, 151, 91-130.
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2024년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- 강병규, & 양류. (2024). 『중국의 생성형 AI의 HSK 독해 능력 고찰 — ERNIE Bot4.0(文心一言)을 중심으로 —』. 중국어교육과 연구, 44, 357-392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박정구, 강병규, 박민준, & 유수경. (2024). 『문두 다중논항 구문의 수용성 제고에 관한 정보구조적 고찰』. 중국언어연구, 114, 203-243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강병규. (2024). 『딥러닝을 활용한 중국어 방향보어의 의미 추론 연구』. 중국언어연구, 112, 55-90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박정희, & 강병규. (2024). 『챗GPT에 기반한 중국문학작품 번역 방법론 탐구』. 중국문학, 119, 169-200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강병규, 박정구, 유수경, & 박민준. (2024). 『XAI 기반의 중국어 문두 다중논항 어순 해석 모델 연구』. 중국언어연구, 111, 109-146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박정구, 유수경, 박민준, & 강병규. (2024). 『신경망 언어 모델 구축을 통한 중국어 문두 다중논항 어순 수용성 예측 연구』. 중국문학, 118, 161-189.
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2023년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- 박정구, 강병규, 박민준, & 유수경. (2023). 『어순 수용성 데이터 기반의 중국어 문두 다중논항 의미역 배열 기제 및 위계 연구』. 중국언어연구, 109, 127-178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강병규, & 손민정. (2023). 『2022 개정 중국어 교육과정의 기본어휘 고찰』. 중국언어연구, 108, 309-346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강병규, & 최승혁. (2023). 『N-gram을 활용한 중국 법률 텍스트의 정형 표현 분석 – 중국 민법전을 중심으로』. 중국어문학지, 84, 437-465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강병규, 박정구, 유수경, & 박민준. (2023). 『말뭉치 기반 중국어 문두 다중논항의 의미역 배열 경향성 고찰』. 중국언어연구, 106, 63-104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Kang, B., & Yu, S. (2023). 『Building a Semantically Annotated Corpus of Chinese Directional Complements』. In Workshop on Chinese Lexical Semantics (pp. 43-57). Cham: Springer Nature Switzerland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강병규, & 유수경. (2023). 『중국어 '把'구문 습득에 관한 실험통사론적 연구』. 중국언어연구, 104, 97-132.
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2022년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- Jeong, Y. H., Li, M. Y., Kang, S. M., Eum, Y. K., & Kang, B. K. (2022). 『Automatic Prediction and Linguistic Interpretation of Chinese Directional Complements Based on BERT Model』. In Workshop on Chinese Lexical Semantics (pp. 405-416). Cham: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강병규, & 박민준. (2022). 『중국어 자연어처리 연구 현황과 발전 추세』. 언어와 정보 사회, 45, 193-231.
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2018년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- 강병규, 박정구, & 유수경. (2018). 『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중국어 방언의 진행상 표지의 변이 유형과 발전 기제-동사에 선행하는 '在'류 형식을 중심으로』. 중어중문학, 74, 53-82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강병규, & 이지은. (2018). 『신경망 기계번역의 작동 원리와 번역의 정확률- 중한 번역을 실례로』. 중어중문학, 73, 253-295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강병규, & 문유미. (2018). 『코퍼스를 활용한 중국어 유의어 분석 방법론 試探— 유의어 '産生', '發生'을 중심으로』. 중국어교육과 연구, 27, 83-106.
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2014년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- 이지은, & 강병규. (2014). 『통계적 분석 방법을 통해 본 중국어 방언 분류 – 음운·형태·어법 자질을 중심으로』. 중국언어연구, 54, 255-286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강병규. (2014). 『중국의 공공 용어 정책 부서와 법률』. 새국어생활, 24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Paek, E., Kang, B., Ryu, D., Synn, A., Park, J., & Dang, Y. (2014). 『Diachronic Development of the Chinese Negative 沒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』. 중어중문학, 58, 183-222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박정구, & 강병규. (2014). 『중국어의 이동타동구문과 'V+P{給&與}+OR+OT' 구문』. 언어와 정보 사회, 21, 113-134.
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2013년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- 강병규. (2013). 『구문문법이론에 기초한 중국어 동사와 논항 실현 양상 고찰—이중타동구문을 중심으로』. 중국문학, 75, 217-254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강병규. (2013). 『중국어 코퍼스 분석을 위한 검색 프로그램 비교 고찰 -WordSmith Tools 6.0과 AntConc 3.2.4를 중심으로』. 중국언어연구, 44, 139-171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강병규. (2013). 『중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적 연어의 형성과정 고찰』. 제33회 중국어문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: 중국어문교육의 효과적인 교수방안 탐색, 중국어문학회.
 
                        - 백은희, 강병규, 류동춘, 박정구, 신아사, & 당윤희. (2013). 『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부정사 ‘沒’의 통시적 발전 기제』. 중국언어연구, 44, 73-101.